보이스 피싱 계좌로 실수로 돈을 송금했을 때 대처하는 5가지 방법을
시니어 분들이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지급 정지 요청, 경찰 신고, 피해 구제 신청서 작성 등
구체적인 절차를 단계 별로 알려 드리겠습니다.
대처는 신속함이 핵심입니다.
요즘 보이스 피싱은 너무 정교해서, 좋은 마음으로 도와 주려 다가 실수로 돈을 보내는 일이
시니어 세대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황하지 마시고, 아래 5단계만 침착하게 따라하시면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바로 은행 고객센터에 신고하세요
돈을 보낸 계좌의 은행에 즉시 전화하세요.
“보이스 피싱으로 착오 송금했으니 계좌 지급 정지 요청합니다” 라고 말씀하세요.
- KB국민: 1588-9999
- 신한은행: 1599-8000
- 농협: 1588-2100
- 우리은행: 1588-5000
💡 팁: 스마트폰이 익숙하지 않으시면, 가까운 지점으로 바로 가셔도 됩니다.
2. 경찰서에 ‘사기 피해 신고’ 접수
은행에 신고만 하고 끝내면 안 됩니다.
**경찰서에 정식으로 피해 신고를 해야 지급 정지가 유지되고, 환급도 가능합니다.
** 가까운 경찰서나 사이버 범죄 신고 센터에서 접수하세요.
3. 피해 구제 신청서 제출 (지급 정지 요청서)
은행에서 ‘지급 정지 확인서’를 발급 받고,
경찰서에서 받은 ‘사기 피해 사실 확인서’를 함께 제출하면 피해 구제 절차가 시작됩니다.
💡 꼭 서류 2개가 필요합니다: 은행 발급 + 경찰 확인
4. 지급 정지된 계좌에 남은 금액 확인
가해자가 돈을 이미 인출했는지 여부에 따라 환급 여부가 달라집니다.
→ 돈이 일부라도 남아 있으면 **반환 명령 신청을 통해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5. ‘더치트’ 앱으로 사기 계좌 사전 조회 습관 화
돈 보내기 전에 상대 계좌를 ‘더치트’ 앱에서 한 번만 검색해도 사기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서 ‘더치트’ 검색 후 설치하세요.
#보이스피싱대처 #송금사기예방 #시니어금융 #사기신고 #지급정지방법